1. 전기기초 회로 및 설명

전기기초 회로 및 설명

전기기초 회로 및 용어에 대해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가정에서 간단한 조명, 콘센트의 회로 및 현장 실무에서 시퀀스회로를 구성시 기본적으로 구성된 회로 입니다.

좀더 복잡한 판넬또는 PLC 구성등에서도 도움이 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 응용하여 추후 MCC 회로 또는 조작반, TIMER 및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수동 조작반 등에 구성시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전기기초 회로 란 전기적인 에너지를 특정 목적을 위해 흐르게 하는 장치 또는 구성 요소의 연결된 집합체를 말합니다.

전기기초 회로 는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설계되며, 다양한 전자 기기와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On 회로]

a 접점 회로라고도 하며 릴레이 코일 X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여자되어 코일 X의 a접점 X가 닫히고, 전류를 끊으면 접점이 열리는 가장 기본적인 회로이다.

[동작 설명]

① R상과 T상에 전원이 투입되면

ㆍ 릴레이 코일 X가 여자되어 X의 a접점 X가 닫힌다.

② R상과 T상에 전원이 차단되면

ㆍ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가 열린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OFF 회로]

b 접점 회로라고도 하며 ON 회로와 반대로 릴레이 코일 X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여자되어 코일 X의 b접점 X가 열리고 전류를 끊으면 닫히는 회로이다.

[동작 설명]

① R상과 T상에 전원이 투입되면

ㆍ 릴레이 코일 X가 여자되어 b접점 X가 닫힌다.

② R상과 T상에 전원이 차단되면

ㆍ 릴레이 코일 X의 b접점 X가 닫힌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다접점 회로]

접점 증폭회로라고도 하며, 릴레이 X에 전류가 흐르면 동시에 몇 개의 ON 및 OFF 회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별히 a 접점만 이용 하는 것과 b 접점만 이용하는 것도 있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직렬(AND) 회로]

직렬회로 또는 논리적 회로라고도 하며, 다수의 입력이 직렬로 연결된 것이다. 릴레이 코일 X는 입력이 모두 닫혔을 때만 작동한다. (출력이 나온다)

[동작 설명]

①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이 ON 되었을 때 (PB1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2 와 PB3 의 접점이 OFF 상태이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지 않고, 릴레이의 a접점 X도 작동 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등 WL은 점등되지 않는다.

②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2 가 ON 되었을 때 (PB2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1 와 PB3 의 접점이 OFF 상태이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지 않고, 릴레이의 a접점 X도 작동 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등 WL은 점등되지 않는다.

③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3가 ON 되었을 때 (PB3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1 와 PB2 의 접점이 OFF 상태이기 때문에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지 않고, 릴레이의 a접점 X도 작동 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등 WL은 점등되지 않는다.

④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와 PB2 가 ON 되었을 때 (입력 PB1 와 PB2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3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⑤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와 PB3가 ON 되었을 때 (입력 PB1 와 PB3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2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⑥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2 와 PB3가 ON 되었을 때 (입력 PB2 와 PB3 만 눌렀을 때) ㆍ입력 PB1가 OFF 상태이기 때문에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⑦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PB2, PB3 모두 ON 되었을 때 (입력 PB1, PB2, PB3를 모두 눌렀을 때) ㆍ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져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따라서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어 표시등 WL (출력)이 점등된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병렬(OR) 회로]

병렬회로 또는 논리합 회로라고도 하며, 다수의 입력이 병렬로 연결된 회로이다. 릴레이 코일 X는 입력조건 중 어느 하나만 ON 되어도 작동한다. (출력이 나온다)

[동작 설명]

①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가 ON 되었을 때 (PB1 만 눌렀을 때) ㆍ접점 PB1이 ON 되었을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며, 표시등 WL (출력) 이 점등 된다.

②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2가 ON 되었을 때 (PB2 만 눌렀을 때) ㆍ접점 PB2가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며 표시등 WL (출력) 이 점등 된다.

③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3가 ON 되었을 때 (PB3 만 눌렀을 때) ㆍ접점 PB3가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 도 닫히며 표시등 WL (출력) 이 점등 된다.

④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와 PB2가 ON 되었을 때

ㆍ접점 PB1와 PB2가 병렬로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며 출력이 나온다.

⑤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와 PB3가 ON 되었을 때

ㆍ접점 PB1와 PB3가 병렬로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며 출력이 나온다.

⑥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2 와 PB3가 ON 되었을 때

ㆍ접점 PB2 와 PB3가 병렬로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a접점 X도 닫히며 출력이 나온다.

⑦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PB2, PB3가 모두 병렬로 ON 되었을 때 출력이 나오며, 입력 중 어느것 하나만 닫혀도 출력이 나온다.

전기기초 회로

 

전기회로 [부정(NOT) 회로]

부정회로 또는 논리부라고도 하며, 입력이 ON되면 릴레이 X가 여자되어 릴레이 코일 X의 b접점 X를 여는(OFF 시키는)회로이다. 즉, 입력의 역조건을 만드는 회로이다.

[동작 설명]

① 입력을 공급하지 않았을 때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를 누르지 않았을 때)

ㆍ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X의 b접점 X 가 회로를 연결시켜서 표시등 WL 은 점등한다. (출력이 나온다) ②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 눌러 전원을 공급하였을 때 (입력인 누름 버튼 스위치 PB1를 눌렀을 때) ㆍ접점 PB1가 ON 되었을 때 릴레이 코일 X는 작동하고 릴레이 코일 X의 b접점 X도 작동하여 회로가 열리므로 표시등 WL 은 점등하지 않는다. (소등된다)

③ 위의 경우와 같이 입력이 있을 때는 출력이 나오지 않고 입력이 없을 때만 출력이 나온다.

전기기초 회로

 

타이머 회로

타이머 회로 [ON-DELAY 회로]

한시회로라고도 하며 시간을 세트한 후 그 시간이 되면 작동하는 것으로 On Delay Circuitry(On 레이 회로)와 Off Delay Circuity(Off 딜레이회로)가 있다.

1-7-1. On Delay 회로

타이머 동작 후 설정 시간 뒤에 b접점이 열리고 a접점이 닫힌다. 타이머 코일에 전원이 Off 되면 즉시 a접점은 Off 되고 b접점이 On 되는 즉 원위치로 되돌아가는(a접점이 열리고 동시에 b접점이 닫히는) 회로이다. 타이머의 접점에는 한시 접점와 순시 접점이 있다.

[동작 설명]

타이머 전기회로

① R상과 T상에 전원 투입시

ㆍ 코일에 전원이 투입되면 설정 시간 후 (T 초 후)에 타이머 한시동작 b접점이 Off 되고 a접점이 On 동작된다.

② R상과 T상에 전원 차단시

ㆍ 코일 전원 차단 즉시 타이머 한시동작 b접점은 열리고, 타이머 한시동작 a접점은 닫힌다. (원상태로 돌아온다)

우측에 타임 차트에서 타이머 코일작동 T초후에 비로소 한시동작 a접점 및 한시동작 b 접점의 작동이 행하여지며, 타이머 코일의 작 동이 정지하면 원상태로 돌아온다.

타이머 전기회로

 

타이머 회로 [OFF-DELAY 회로]

타이머 코일 T에 전원이 On 되면 즉시 b접점이 열리고 a접점이 닫히며, 코일에 전원이 Off 되어도 설정시간 동안은 a접점이 계속 동작한다. 설정시간이 되면 a접점이 열리고 b접점은 닫히는 회로이다.

[동작 설명]

타이머 전기회로

① 현재상태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다.

② R상과 T상에 연결된 코일에 전원 투입과 동시에 한시 동작 a접점이 닫히고, 한시

동작 b접점이 열리어 계속 동작 상태를 유지 한다.

② R상과 T상에 전원 차단시

ㆍ코일의 전원을 차단하여도 계속 작동하다

설정시간이 되면 한시동작 a접점이 열리고 한시동작 b접점이 닫힌다. (원상태로 돌아온다)

우측 그림의 타임 차트와 같이 타이머 코일이 작동하면 한시 동작 b접점이 열리고 a접점이 닫히며, 타이머 코일에 전원이 정지 후에도 설정 시간이 되어야 한시 동작 a접점이 복귀 되어 열리고 b접점은 닫힌다.

타이머 전기회로

 

마치며

지금까지 전기기초 회로의 구성의 기본인 각 접점동작 회로 및 타이머를 이용한 딜레이 회로를 보았습니다. 다음은 자기유지회로 및 선택회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his Post Has 8 Comments

답글 남기기